전체폴더

[스크랩] 거위의 모든 것

영원한 사랑아 2012. 9. 17. 09:23

거위 : 오리科 기러기目

ㅇ 집을 잘 지킨다
    . 거위는 남성적으로 밤낮을 구분 않고 집에 도둑이나 낮선 사람이나 짐승이 와도 도망가지 않고 오히려 가까이 다가가서 꽥꽥 큰 소리로 울어대며 심지어 부리로 쪼기까지 한다. 거위는 40~50년을 살 수 있다고 한다
    . 거위는 주인과 그 식구를 알아본다고 한다
    ※ 경주시 안강읍 소재 옥산분재연구원(대표 김종기)에서 거위 1쌍을 20년간 기르다 암놈이 병들어 죽자 묻어주었으며, 암놈이 죽은 후 수놈은 6개월간 너무나 구슬피 울어 방사를 하였다고 하며, 집안에 있어도 거위의 울음소리로 사람이 몇 명 오는지 남자인지 여자인지를 구분 할 수 있었다고 함 (전화 054-762-6614)


ㅇ 집안의 청소부이다
    거위는 잡식성으로 집안의 각종 동식물성 쓰레기는 무엇이든 먹어치우며, 심지어 상한 음식 찌꺼기도 먹어 치운다. 그러므로 많은 수의 거위를 키우지 않으면 인근의 음식 찌꺼기로 사육이 가능하여 사료비가 적게 들며, 음식쓰레기 처리에 기여하는 짐승으로 중국에서는 집안의 청소부라 부른다.
   ※ 큰 거위 한 마리가 하루동안 음식찌거기 처리량은 5kg 정도이다.

ㅇ 금슬이 아주 좋으며 가정적이다.
    원앙새 빰 칠 만큼 암수와, 새끼와 어미의 사랑도 깊다.
    암컷이 알을 품으면 수컷은 주위를 맴돌며 암컷을 보살피며, 새끼가 알에서 깨어나면 수컷이 앞장서서 가고 가운데는 어린 새끼가 걸어가며 맨 뒤에는 암컷이 보살피며 다녀 가족의 화목을 보여준다
  ※ 자기가 부화한 새끼가 죽으면 부화한 장소로 새끼를 물어다 놓고 계속 큰소리로 꽥꽥 울어대며 며칠간 먹이도 먹지 않았다. 또한 다른 집단의 새끼거위를 넣어주면 자기들 종족끼리는 금방 알아보고 보살피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어린오리를 넣어줘도 잘 어울리며 보호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ㅇ 거위는 버릴 것이 없다
   거위의 고기와 뼈는 보양식으로 사용되고, 거위털은 오리털 파카보다 비싼 보온옷감의 원료이며, 거위 가죽은 고급피혁으로 사용된다.
(※는 체험 및 목격담)

  각종 암에 효과가 있는 거위피(鴉血)
    식용 거위의 혈액이다. 혈액 중에는 알칼리포스타파제와 유산탈구소효소 함량이 매우 낮고 거위의 면역기관흉선과 췌선은 잘 발달 되어 있어 항암성분은 일종의 면역항원물질이라고 생각된다.
    약리작용 : 중국의학에서는 일찍이 “거위피는 식도암을 치료하고 위암을 치료하며 약독(藥毒)을 풀어준다”라고 기록되어 있다.
    임상응용 : 주로 소화기계종양 및 백혈병 등에 쓰인다. 각종 암 치료 후 암 종괴의 축소, 소실되고 백혈구 수가 회복되어 방사선 치료나 화학요법을 받을 수 있게 되었다. - 탈모현상을 막을 수 있었다 함. 
         
거위요리-정력제
중국 청나라 때의 호걸로 알려진 강의(江儀)가 정력재로 이용한 요리는 거위이다.
살이 통통한 거위 한 마리를 깨끗이 목욕시킨 후 산채로 넙적한 철판위에 올려놓고 그 위에 큰 철망을 덥는다, 그리고 약한 불을 지피기 시작하면 견디지 못해 철망속에서 광란의 춤을 추며 비명을 지르고 그러는 동안에 온 몸의 지질이 차츰 발바닥으로 몰려 약 10시간이 지나면 발바닥이 5cm이상의 두께가 된다.
  그러면 먼저 이 두툼한 거위의 발을 잘라내어 먹는다고 한다. 거위의 전 에너지가 이곳에 모여있어 힘의 원천이라는 것이다.
  그후 발이 잘린채 철판의 열 때문에 심한 갈증으로 파닥거리는 거위에게 그릇에 담긴 매인장(梅仁醬-중국 간장의 일종으로 정력에 좋다고 함)을 넣어준다. 그러면 거위는 짠 매인장을 단숨에 들이키다 숨을 거두게 되고 거위고기는 골고루 퍼진 매인장 때문에 조미료는 따로 준비할 필요가 없다고 하며,
  호걸이며 호색가로 이름을 떨친 강의는 이 거위요리를 매일 한 마리씩 먹었다고 한다
  거위고기를 먹고 여인과 접하면 남자는 아홉 번이나 도원경을 헤매어도 여력이 남으며, 여인쪽은 무려 아흔 아홉 번이나 천국을 왕래한 끝에 사흘동안 실신한채 깨어나지 못한다고 술회하고 있다 
               
 거위 : 암 치료 관련자료
암 환자의 식사는 녹황색 채소를 중심으로 식단이 구성 되어야 하며, 개고기, 흑염소 등의 육식은 피해야 한다(육식과 생선은 피해야 한다)
이런 육식을 섭취하는 것은 종양성장을 촉진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 오리과에 속한 거위는 항암 효과가 뛰어날 뿐 아니라 암환자의 영양식으로 좋은 동물이다

-  장씨의통(張氏醫通- 중국 청나라때)
   이 책을 보면 음식을 먹지 못하고 심지어 미음도 토해 버리는데 거위의 더운피를 먹으니 피를 토하고 저녘에 미음을 먹으니 내려가고 그후에 음식을 먹을 수 있게 되었다는 위암을 치료한 기록이 있다

- 본초강목(本草綱目)
   거위피는 수은, 비상, 단석 등의 중금속 독성을 해독하고 여우에게 물렸을 때 여우의 독을 해독하고 약독을 풀어준다고 하여 거위피의 해독효능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거위피의 효능
    첫째. 해독작용이 있으며,

    둘째. 거위는 흉선이 발달되어 있고 거위피 속에는 혈청글로블린의 함량이 많아 백혈구 수치가 높기 때문에 인체의 면역성을 강화시킨다.
    셋째. 거위 피에는 산.알칼리. 효소 등에 파괴되지 않는 소분자 물질로 구성된 항암인자가 있어 식도암, 위암, 간암, 폐암, 췌장암을 치료하는 항암효능이 있고 거위피를 복용한 암 환자의 암세포는 형태학적으로나 질적으로 변화를 가져온다.
     3~4일에 한번씩 거위피를 복용하고 여기에 건위제를 타서 복용한다, 3~4일에 한번씩 연속으로 일곱번을 복용한다. 화학요법과 병행하여 복용해도 되고, 이 기간에 영양식으로 거위죽을 끓여 먹어도 된다.
    거위피로 동물 실험을 한 결과 암세포의 핵이 용해되면서 퇴행성변화가 일어나는 것이 관찰 되었다. 거위피는 주로 위암, 식도암, 대장암등 소화기계통의 암치료에 응용되는데 그 치료효과가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소화력이 약한 사람이 한번에 거위피를 많이 마시면 설사를 할 수 있으므로 거위피에 건위제를 배합하여 마시고 양을 적게 했다가 차츰 늘려가는 것이 좋다.  
            

거위간
거위간을 휘아그라(foie-gras)라고 하는데 이것은 “비대한 간”이란 뜻임.
         거위간에는 양질의 단백질, 지질, 비타민A,E, 철 구리, 코발트, 망간, 인, 칼슘, 등 빈혈이나 스테미너 증강에 필요한 성분이 많이 있음.
거위간은 서양의 3대 진미(철갑상어알(캐비어), 송로버섯, 거위간)의 한가지이다.

거위요리
서양인의 기독교 축제에 빠질 수 없는 것이 거위 요리이다.(거위요리는  중국  특히 홍콩의 요리가 유명하다.)
           지금 우리나라 유명호텔에는 거위요리가 빠지지 않는다.

거위알
오리알과 마찬가지로 고혈압과 당뇨에 좋은 식품이다
         거위알로 당뇨를 치료하는 스님이 있다
         강릉 청파에 위치한 법륜사 주지스님(법륜스님) 033-644-8112,8100
                                                      017-370-8112             유황거위 : 유황오리 사육법과 같음
    
거위피(鴉血) : 각종 암의 치료효과가 있다.

거위【한약명은 백아(白鴉)】 : 거위는 몸에 열이많고 육체적으로 노동을 많이 하는 사람이나 신경을 많이 스면서 일을 하는 사람들에게 기운을 보해 주고 갈증을 그치게 한다.
                        성격이 급하고 걸음걸이가 빠르며, 뼈는 튼튼하면서도 살이 없는 사람들의 오장육부 기능이 항진되어 나타나는 열을 풀어준다 - 평소 열이 많은 사람들은 개고기나 닭고기 보다 거위고기나 오리고기를 먹는 것이 좋다. 
               


기타 거위에 관한 참고자료(古書)
전어지(佃魚誌-서유구 지음) - 거위사육법
오주연문장전산고(五州椼文長箋散稿- 이규경 지음) - 거위젓을 만드는 법
동의보감(東醫寶鑑-허준 지음) - 알과 살의 약용법
지봉유설(芝峯類設-이수광 지음) - 거위 특유의 습성

 

 

 

출처 : 다우리야생화(http://www.dawori.com)
글쓴이 : 빗방울 원글보기
메모 :

'전체폴더'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환상의 세계에서 아름다움을~~  (0) 2012.11.20
불타는 가을 단풍~~  (0) 2012.11.20
앵두가 읶어 갑니다~  (0) 2012.06.10
썬크림 정보  (0) 2012.05.28
2012년 4월 29일 화사한 나의 쉼터~  (0) 2012.04.29